반응형
우리는 무엇인가를 계획할 때 늘 ‘이번에는 제대로 하겠다’ 다짐하지만, 실제로는 계획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리는 경험을 자주 합니다.이처럼 사람들의 시간 계획이 자주 빗나가는 이유를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 바로 **계획 오류 이론(Planning Fallacy)**입니다. 계획 오류 이론(Planning Fallacy)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가 1979년에 처음 제안한 개념입니다.사람들은 자신의 작업이나 프로젝트에 걸리는 시간을 항상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이 현상은 개인적 낙관주의, 기억 왜곡, 돌발 변수 무시, 사회적 압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결과적으로 우리는 실제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일을 너무 짧게 계획하게 된다.--------------------------------..
– ‘기댓값 이론(Expected Value Theory)’ , 확률의 언어로 인간을 말하다 – 당신 앞에 두 개의 선택이 있습니다.A: 1천만 원을 확실히 받는다B: 1억 원을 10% 확률로 받는다, 아니면 0원 대부분의 사람은 A를 택합니다.하지만 수학적으로는 B의 **기댓값(Expected Value)**이 A보다 높습니다.그런데도 우리는 왜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확실한 쪽을 택할까요? 이것이 바로 기댓값 이론이 인간을 설명하는 방식입니다.우리는 늘 '합리적 선택자'는 아니며, 기댓값이라는 수학적 기준 앞에서도 감정, 편향, 직관에 따라 흔들리는 존재입니다. 기댓값, 인간 심리의 거울 기댓값 이론은 원래 도박이나 보험, 투자에서 쓰이던 계산입니다.하지만 이 이론을 사람의 선택에 적용하면, 그 이..
결정을 내리고 난 후 ‘왜 그때 다른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잠겨 본 적 있나요? 친구와의 약속, 투자, 쇼핑에서의 선택까지, 작은 순간에도 후회가 우리 마음을 무겁게 합니다. 이런 후회를 피하려는 심리가 우리의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후회회피이론 (Regret Aversion Theory)제안자: 리처드 쉴러(Richard Thaler) 등 행동경제학자배경: 사람들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미래에 후회할 가능성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음.------------------------------------------------------------------------------------------ 실제 사례 투자자들이 어떤 주식을 팔지 결정할 때, 손실 확정이 두려워 계속 붙잡고 있..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우리는 종종 ‘최선’이 아닌 ‘최악의 상황만 피하자’는 식의 사고에 머물게 됩니다. 이런 심리적 경향은 왜 생기며,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선택을 이끄는 걸까요? ‘최솟값 전략(minimax strategy)’ 이론은 사람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설명해 줍니다. 최솟값 전략 이론 (Minimax Strategy) 최솟값 전략 이론은 사람들이 불확실한 선택 상황에서 ‘최악의 결과를 피하는 쪽’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심리적 경향을 설명합니다. 즉, 기대값이 더 크거나 이득이 많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회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은’ 선택지를 택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특히 스트레스가 높거나 책임이 큰 결정 상황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머릿속이 복잡해지고, 아무 결론도 내리지 못한 채 하루를 보내본 적 있으신가요? 이직, 결혼, 진학, 이사… 인생의 큰 전환점일수록 우리는 종종 결정을 미룹니다. 단순히 게으름 때문일까요? 심리학은 이 현상을 ‘결정 회피(decision avoidance)’라는 이름으로 설명합니다. 결정 회피 이론 (Decision Avoidance Theory)결정 회피란 어떤 선택을 해야 할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결정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우유부단함이 아니라, 심리적 부담을 피하려는 방어 메커니즘입니다. 특히 중요한 결정일수록 실수에 대한 두려움, 실패 가능성, 책임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심화됩니다. -------------------------------..
넷플릭스를 켜고 영화를 고르다 40분이 지나도 플레이를 누르지 못한 채 꺼버린 적이 있으신가요?마트에서 시리얼을 사려다 너무 많은 종류에 압도되어 결국 아무것도 고르지 않고 돌아선 경험은요?우리는 매일 엄청난 수의 ‘선택지’ 속에서 살고 있으며, 그 선택이 오히려 결정을 방해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이 혼란스러운 심리를 설명해주는 개념이 바로 오늘의 주제인 **선택 마비 이론 (Choice Overload Theory)**입니다.선택 마비 (Choice Overload 또는 Decision Paralysis)이 이론은 콜롬비아 대학의 심리학자 **쉬나 아이엔거(Sheena Iyengar)**의 유명한 실험에서 널리 알려졌습니다.그녀는 마트 시식대에서 24가지 잼을 제공한 그룹과 단 6가지만 제공한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