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왜 우리는 후회를 두려워 하는가-후회회피이론 (Regret Aversion Theory)

반응형

결정을 내리고 난 후 ‘왜 그때 다른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잠겨 본 적 있나요? 친구와의 약속, 투자, 쇼핑에서의 선택까지, 작은 순간에도 후회가 우리 마음을 무겁게 합니다. 이런 후회를 피하려는 심리가 우리의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후회회피이론 (Regret Aversion Theory)

  • 제안자: 리처드 쉴러(Richard Thaler) 등 행동경제학자
  • 배경: 사람들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미래에 후회할 가능성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음.

------------------------------------------------------------------------------------------

 

실제 사례

 

투자자들이 어떤 주식을 팔지 결정할 때, 손실 확정이 두려워 계속 붙잡고 있다가 더 큰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후회할까 봐’라는 감정이 행동을 제약하기 때문입니다. 또 쇼핑할 때 ‘더 나은 선택이 있었을까?’ 하는 생각에 구매를 미루기도 합니다.

 

핵심 개념과 원인

  • 후회회피: 불확실한 결과에서 ‘후회할 상황’을 피하려는 심리
  • 결정 지연: 후회가 두려워 즉각적인 선택을 미루는 현상
  • 감정과 의사결정: 합리적 판단보다 감정이 우선할 때 후회회피가 강하게 작용

나에게 묻는다 !☞

  • 최근에 어떤 결정을 내리기 망설였나요? 그 이유는 무엇이었나?
  • 후회하지 않으려다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만든 경험이 있나?
  • 어떻게 하면 후회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제안

 

후회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작은 실천으로 마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완벽한 선택’ 대신 ‘충분히 좋은 선택’을 목표로 삼고, 결과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보세요. 또 후회에서 배운 점을 기록하면 성장의 밑거름이 됩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1-4] 선택마비 이론
  • [1-5] 결정회피 이론

참고도서

  • 『넛지: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 리처드 H. 세일러, 캐스 선스타인  2010
  • 『행동경제학』, 리처드 세일러, 와이즈베리, 2018

관련 기사

추천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