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의 숲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이론의 숲

  • 분류 전체보기 (64)
  • 홈
  • 태그
  • 방명록
[1-10] "뉴스, 광고, 정치… 말의 프레임이 우리를 조종하는 법"-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

[1-10] "뉴스, 광고, 정치… 말의 프레임이 우리를 조종하는 법"-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

똑같은 말도 다르게 들리는 이유(Framing Effect) "이 제품은 성공 확률이 90%입니다.""이 제품은 실패 확률이 10%입니다."두 문장은 논리적으로 같은 말이지만, 어떤 쪽에 더 끌리시나요?대부분은 **‘성공 확률 90%’**에 더 긍정적인 인상을 받습니다.이처럼 같은 사실이라도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판단이 달라지는 현상을**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라고 부릅니다. 핵심 개념과 원리프레이밍 효과는 1981년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가 제시한 개념입니다.**프레임(frame)**은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입니다.사람들은 정보를 ‘객관적 사실’이 아닌 프레임을 통해 해석합니다.즉, 같은 정보도 긍정적으로 ..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5. 6. 18.
  • textsms
반응형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최근 글
인기 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반응형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