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신과 믿음] 13일의 금요일은 왜 불길하게 느껴질까?” – 미신과 집단 심리의 작동 원리

디퍼아 2025. 7. 6. 20:07
반응형

 

  단순한 날짜가 주는 불안

어느 날력에서나 “13일의 금요일”을 보면 괜히 기분이 찜찜해진 적 없으신가요? 약속을 미루거나, 중요한 일을 피하고 싶어진 경험 말입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단지 ‘날짜’와 ‘요일’의 조합일 뿐인데 왜 우리는 그토록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걸까요?

미신과 두려움으로 둘러싸인 날짜, 13일의 금요일은 악명 높은 날은 불운과 연관되어 왔으며,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불행을 가져온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13일의 금요일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는 '파라스케비데카트리아포비아 (paraskevidekatria-phobia) '라는 특정 명칭도 존재한다.

이 글은 13일의 금요일이 불길하게 여겨지는 문화적, 심리적 배경을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Friday the 13th "의 역사적 기원 및 사례

  • 13이라는 숫자의 불길함: 서양 문화에서 12는 완전함(12개월, 12제자 등)을 상징하는 숫자입니다. 13은 그 질서를 깨뜨리는 숫자로 여겨져 왔습니다.
  • 고대시대 숫자 13이 불길한 사건 및 일들과 연관 : 북유럽 신화에서 12명의 신들이 만찬을 즐기던 중 불화의 신 로키가 13번째로 나타나 분란을 일으킨 전설, 
  • 중세 유럽 : 중세 유럽에서는 1307년 10월 13일, 프랑스 왕 필리프 4세가 성전 기사단을 대대적으로 체포하고 박해한 사건이 실제로 13일의 금요일에 발생 
  • 비극적인 사건 발생일 : 1989년 10월 13일에 영국 금융 시장에 컴퓨터 바이러스가 퍼져 대규모 혼란을 초래한 '금요일 13일 바이러스' 사건이 발생, 2012년 1월 13일에 이탈리아에서 호화 유람선 코스타 콩코르디아호가 좌초되는 사고로 32명이 사망했으며, 같은 해 7월 13일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 파업 유혈 사태가 발생해 많은 사상자 발생, 2015년 11월 13일에 프랑스 파리에서 동시다발적인 테러가 발생해 전 세계에 충격  
  • 건물,호텔,항공기 13 숫자 : 미국 일부 13층이 아예 없음. 호텔 객실 번호에서 13호실을 생략하는 경우도 여전. 일부 항공사들은 13번 좌석을 없애기도 함.
  • 계약,수술 : 13일의 금요일에 중요한 계약이나 수술을 피하는 경향

 

  • 최후의 만찬: 예수의 12제자와 함께한 마지막 식사에 유다까지 포함하면 13명. 이후 예수가 금요일에 처형되었다는 기록이 맞물리며 ‘13일의 금요일’은 이중 불운의 상징이 됨
  • 현대 미디어의 영향: 영화 <13일의 금요일>, 공포 스릴러, 미디어 보도 등이 이 인식을 더욱 고착화시킴.

 

 

이론 소개: 미신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믿어지는가

 

13일의 금요일은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미신으로 받아들여지는 날입니다. 미신을 믿는 현상은 단순한 ‘비이성’이 아니라, 여러 심리학·인지과학 이론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미신을 믿는 심리 현상과 관련된 주요 이론들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심리·사회적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①  통제의 환상 이론 (Illusion of Control)

  • 정의: 사람들이 실제로는 통제할 수 없는 사건에 대해 자신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경향.
  • 대표 연구: 엘렌 랭어(Ellen Langer, 1975)의 복권 실험 – 사람들이 자신이 직접 고른 번호를 더 가치 있다고 믿음.
  • 미신과 연결: “시험 전에 특정 펜을 쓰면 잘 본다”는 믿음 등은 통제를 느끼고자 하는 심리의 산물입니다.

 ②  우연적 연관 이론 (Operant Conditioning + 연합 학습)

  • 정의: 보상이 반복되면 무관한 행동이 연결되어 학습되는 현상 (Skinner의 비둘기 실험)
  • 예시: “밤에 손톱을 깎으면 부모님이 돌아가신다” 같은 미신은 과거 특정 사건과 부정적 결과가 우연히 연결된 결과일 수 있음.

 ③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

  • 정의: 자신의 믿음과 일치하는 정보만 받아들이고, 반대 증거는 무시하는 경향.
  • 미신과 연결: “13일의 금요일엔 꼭 안 좋은 일이 생긴다”고 믿는 사람은 그날 일어난 나쁜 일만 기억함. 좋은 일은 기억하지 않음.

 ④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 정의: 어떤 사건이 ‘그럴듯하게’ 느껴지면 실제보다 더 자주 일어나는 것처럼 믿는 심리.
  • 미신과 연결: “검은 고양이를 보면 불길하다”는 믿음은 문화적 상징과 결합되어 대표성 있는 이미지로 고착됨.

 ⑤ 인지 부조화 이론 (Cognitive Dissonance)

  • 정의: 모순된 생각이나 행동 사이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믿음을 만들어내거나 강화하는 경향.
  • 미신과 연결: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상황에서 “그날 미역국을 먹어서” 같은 이유로 해석함으로써 마음의 안정을 얻음.

 ⑥ 진화심리학적 설명

  • “오경보가 낫다” (Better safe than sorry) 전략
  • 정의: 원시 시대에는 잘못된 신호라도 반응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과잉 경계 반응이 남아 있음.
  • 예시: 어두운 밤에 나무 뒤에서 들린 소리가 사실은 바람일지라도, ‘호랑이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경향.

 

현대사회에서의 13일의 금요일 : 기업들에게는 창의적인 마케팅의 기회를, 대중에게는 일상 속 작은 즐거움을 선사하는 유쾌한 날로 재탄생

  • 2010년 핀란드 보험사 조사: 13일의 금요일은 평소보다 교통사고가 더 줄어든 날로 집계됨.
    ➜ 사람들이 더 조심한 결과일 수 있음.
  • 소비와 문화의 날 :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재해석되는 날,기업들은 '불운'이라는 이미지를 '특별함'이나 '행운'으로 역이용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끔.13일의 금요일을 기념해 ' 할인, 세일' 등 13이라는 숫자를 활용한 마케팅 프로모션에 적극적 활용
  • 문화 콘텐츠 : 13일의 금요일의 이미지를 더욱 강화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이용, 영화 '프라이데이 13th' 시리즈와 같은 공포 영화, 영화 캐릭터를 활용한 유머러스한 광고나 게임 속 특별 이벤트 등은 공포를 넘어 즐거움과 재미를 선사

 

나에게 묻는다 !

  • 나는 숫자나 요일에 대해 특별한 인식을 갖고 있었는가?
  • 나도 모르게 피하거나 긴장하게 되는 미신은 무엇인가?
  • 미신이 나의 행동에 실제 영향을 미친 적이 있는가?

제안

우리가 미신을 믿는 것은 단순한 어리석음이 아닙니다. 세상을 이해하려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에서 비롯된 현상이며, 불확실한 세상에서 통제감을 가지려는 시도입니다. 다만, 미신이 우리의 삶을 지나치게 지배하거나 왜곡할 때, 그것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일의 금요일은 단지 평범한 하루일 수 있습니다. 믿음이 그 날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뿐이니까요.

 

--------------------------------------------------------------------------------

 

관련 기사

  1. The Conversation – Why Friday the 13th Feels So Scary
     https://theconversation.com/why-friday-the-13th-feels-so-scary-127963
    • 발행일: 2020년 3월 13일
    • 내용 요약: 인간은 예측 불가능한 세계에 대한 불안을 줄이기 위해 미신을 만든다. 13일의 금요일은 서양 문화 속에서 불안과 공포의 상징으로 반복적으로 각인되어 왔다.
  2. BBC Future – The psychology behind superstitions
     https://www.bbc.com/future/article/20150401-why-do-we-believe-in-superstitions
    • 발행일: 2015년 4월 1일
    • 내용 요약: 사람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심리적 안정을 위해 미신을 믿으며, 특정 행동이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착각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참고 도서

  1. 리처드 와이즈먼, 『괴짜 심리학』
    • 미신, 심령현상, 착각 등 심리적 믿음의 과학적 근거를 파헤친 대중 심리학서
    • 예스24 링크
  2. 마이클 셔머,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 과학적 사고 대신 미신과 음모론을 믿는 이유를 설명하는 책
    • 알라딘 링크
  3. 매튜 허트슨, 『비이성의 힘』
    • 미신적 사고가 실제로 인간에게 주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
    • 교보문고 링크

추천 영상

  1. TED-Ed – Where do superstitions come from? (3분)
     https://youtu.be/7y4cwiZnp58
    • 미신이 생겨난 사회·심리학적 기원을 애니메이션으로 설명
  2. Today I Found Out – Why is Friday the 13th Considered Unlucky?
     https://www.youtube.com/watch?v=HZZ7P0O5cL4
    • 13일의 금요일이 불길한 날로 여겨지게 된 역사와 문화적 배경 소개
  3. National Geographic – Superstitions Explained
     https://www.youtube.com/watch?v=yf_JUnqzVtE
    • 전 세계 미신이 어떻게 공통된 패턴을 가지며 퍼지는지를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