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7] 우리는 누구인가? – 집단 속 '나'를 규정하는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

디퍼아 2025. 7. 5. 00:57
반응형

 

 

 
 

"너 어디 소속이야?"라는 질문의 의미

대학 동아리, 회사 팀, 출신 지역, 정치 성향, 성별이나 인종까지.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없이 많은 정체성을 부여받고 살아갑니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어떤 소속에 그렇게나 강한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낄까요? 또 어떤 때는 그 정체성 때문에 편견이나 갈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복잡한 감정의 뿌리를 설명해주는 이론이 바로 사회 정체성 이론입니다.

 

 

이론 소개: 타지펠과 터너의 사회 정체성 이론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은 영국의 사회심리학자 헨리 타지펠(Henri Tajfel)과 존 터너(John Turner)에 의해 1970년대에 정립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을 단순한 개인이 아닌, 하나 이상의 사회 집단의 일원으로서 인식한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이로 인해 집단 간 비교, 소속감, 차별, 편견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핵심 개념은 세 가지입니다:

  1. 범주화(Categorization): 사람들은 세상을 단순화하기 위해 자신과 타인을 범주로 나눔. (예: 나 = 회사원 / 너 = 프리랜서)
  2. 동일시(Identification): 자신을 특정 집단에 속한다고 인식하고 감정적으로 동일시함. (예: 나는 서울대 출신이다)
  3. 비교(Comparison): 자신이 속한 집단(내집단)을 다른 집단(외집단)과 비교하며 자긍심을 획득함. (예: 우리는 저들보다 더 능력 있어)

이러한 과정은 집단 내 응집력을 높이지만, 동시에 외부 집단에 대한 차별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스포츠 팬덤과 집단 정체성

 

축구 경기장에서 울려 퍼지는 응원가, 팀 유니폼을 입고 단체로 이동하는 팬들, 그리고 라이벌 팀과의 갈등. 이 모든 것은 단순한 취향을 넘어선 사회적 정체성의 표출입니다. 팬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팀을 통해 집단 소속감을 느끼고, 팀의 승리가 마치 자신의 성취처럼 여겨집니다.

또 다른 예로는 직장 내 부서 간 경쟁, 지역 감정, 학교 간 라이벌 관계 등에서도 사회 정체성 이론은 강력한 설명력을 가집니다.

 
 

핵심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사회 정체성 개인이 자신을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심리적 상태
내집단 vs 외집단 소속된 집단(내집단)을 우선시하고, 타 집단(외집단)과 구분하여 비교하는 경향
집단 자존감 내집단의 긍정적 이미지를 통해 자신에 대한 긍지를 느끼는 심리
 
 

나에게 묻는다 !

  • 나는 어떤 집단에 강한 소속감을 느끼고 있는가?
  • 그 소속감은 나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
  • 다른 집단에 대한 편견이나 배제 감정은 없었는가?

제안

우리는 모두 다양한 집단의 일부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그 정체성에 갇혀 타인을 배척하거나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는 순간 생깁니다. 사회 정체성 이론은 우리에게 ‘집단 소속’이라는 심리적 기제가 어떻게 사회적 갈등으로 발전하는지를 알려주며, 동시에 더 나은 집단 간 관계를 위해 무엇을 성찰해야 하는지도 알려줍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2-2 낙인 이론: 한 번 찍힌 ‘프레임’은 왜 벗기 어려운가?
  • 2-4 사회 비교 이론: 비교는 어떻게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가?
  • 3-1 프레임 이론: 시선을 결정하는 보이지 않는 틀
 

참고 도서

  • 데이비드 마이어스, 『사회심리학』
  • 앙리 타지펠 외,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관련 기사

    • 이용호 (2024), “팬덤 정치, 네트워크 포퓰리즘인가, 참여의 확장인가?”,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팬덤 정치가 한국에서 과잉 대표·과잉 참여 현상을 드러내며 민주주의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라고 분석함.
  • 중앙일보 (2022.8.5), “어느 편이냐는 질문이 팽팽한 갈등을 만든다”
    – “사회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어느 편이냐?’라는 질문은 내집단 내 응집력을 강화하지만 동시에 다른 집단과의 긴장과 갈등       을  심화시킨다”고 분석함.
 
 

추천 영상

  • [YouTube] “Social Identity Theory Explained”
  • [BBC Ideas] “Why we love to be part of 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