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5] 왜 다들 웃을 때 나도 웃을까? – 동조 이론(Conformity Theory)으로 본 사회 속 ‘따라하기’의 심리

디퍼아 2025. 6. 29. 16:24
반응형

"그냥 다들 하니까…"라는 그 말

지하철에서 모두 고개 숙여 휴대폰을 보고 있을 때, 나도 괜히 폰을 꺼낸 적이 있지 않나요?
회의에서 모두가 고개를 끄덕이는데 나 혼자 의문을 제기하기 망설여진 적은요?

이런 순간은 단순한 행동 같지만, 사실은 우리가 사회 속에서 얼마나 ‘동조’하며 살아가는지를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동조 이론 (Conformity Theory)

  • 이론 정립자: 솔로몬 애쉬 (Solomon Asch), 1951년
  • 핵심 내용:
    동조 이론은 개인이 집단 내의 압력이나 규범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의견이나 행동을 바꾸는 심리현상을 설명합니다.
    애쉬는 ‘줄 길이 실험’을 통해, 자신이 확신하는 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가 틀린 답을 고를 경우 개인도 그에 따라 틀린 답을 고를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을 입증했습니다.

 

실제 사례

  • SNS 챌린지 따라하기: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얼음물 뒤집어쓰기’, ‘만원으로 하루 살기’ 같은 챌린지를 따라 할까요?
    대부분은 재미나 선한 의도도 있지만, 그 이면엔 “모두가 하니까 나도 해야 할 것 같아”라는 집단 동조 압력이 작동합니다.
  • 군중 속 침묵: 회사 회의에서 상사의 의견에 다들 동의할 때, 반대 의견을 갖고 있음에도 조용히 끄덕이게 되는 경우. 이것이 바로 정보적/규범적 동조의 전형입니다.

 

 

핵심 개념 요약

용어 설명
정보적 동조 ‘다수가 맞겠지’라는 생각으로 따라가는 것
규범적 동조 ‘튀지 않기 위해’ 다수에 동조하는 것
애쉬 실험 잘못된 집단 의견에 개인이 맞춰가는 행동을 실험으로 증명
 

나에게 묻는다 !

  • 나는 최근 어떤 순간에 집단의 의견에 따라갔는가?
  • 그 결정이 나에게 진정으로 옳은 선택이었는가?
  • 다수의 의견이 반드시 옳다고 믿는 경향은 없는가?

제안

‘동조’는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지만, 지나친 동조는 자기 생각을 억누르고 비판적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집단 속에 있으면서도 나만의 생각을 유지하는 균형 잡힌 태도가 중요합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2-2] 낙인 이론: 한 번 찍힌 ‘프레임’은 왜 벗기 어려운가?
  • [2-4] 사회 비교 이론: 나보다 ‘더 나은 사람’을 볼 때 왜 힘들까?
  • [1-6] 최솟값 전략 이론: 왜 우리는 ‘그나마 손해 없는’ 선택을 할까?

 

참고 도서

  • Solomon Asch, Opinions and Social Pressure (1955)
  • 데이비드 마이어스, 『사회심리학』
  • 로버트 치알디니, 『설득의 심리학』

 

📰 관련 기사

  • [중앙일보] “왜 나도 모르게 따라하게 될까? – 동조의 심리학”
  • [한겨레] “직장 회의에서 진짜 의견을 내기 어려운 이유”

 

🎥 추천 영상

  • [YouTube] “왜 우리는 다수를 따라할까? – Asch Conformity Test 애니메이션”
  • [TED] “The Psychology of Conformity” by Dr. Paul Bl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