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4] “나보다 더 나은 그 사람… 내 좌절의 기준은 어디에서 왔을까?” – 사회 비교 이론으로 보는 인간의 결정

디퍼아 2025. 6. 28. 01:26
반응형

SNS와 선망의 눈빛 속 흔들리는 자존감

내가 사는 동네에서는 나름 말 잘하고 센스 있는 축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SNS를 보니, 나보다 더 유창하게 영어를 구사하고 멋진 커리어를 쌓은 동창이 있다.

그때부터 자꾸만 그 사람과 나를 비교하게 된다.

나의 위치는 과연 어디일까?

사회 비교 이론 (Social Comparison Theory)이란?

인간은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며 스스로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이론은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가 1954년에 처음 제안하였습니다. 그는 "인간은 자신의 능력과 의견을 판단하기 위해 타인과 비교한다"고 보았습니다.

 

사회 비교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뉩니다:

  • 상향 비교(Upward Comparison): 자신보다 더 나아 보이는 사람과의 비교 → 동기 부여 혹은 열등감
  • 하향 비교(Downward Comparison): 자신보다 못하다고 느끼는 대상과의 비교 → 위안 혹은 우월감
 

실제 사례: SNS 속 ‘잘 나가는’ 친구들이 내 마음을 흔드는 이유

상상해 보세요.

아침에 눈 뜨자마자 SNS를 켰더니, 어떤 친구는 유럽 여행 중이고, 또 다른 친구는 스타트업 투자 유치에 성공해 인터뷰에 등장했네요. 나와는 전혀 다른 삶처럼 보입니다. ‘나는 뭐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며 하루의 시작이 무거워집니다.

이러한 감정은 사회 비교 이론이 설명해 줍니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타인을 기준으로 자신을 평가하며, 때로는 자존감을 떨어뜨리기도 하고, 때로는 자기 발전의 자극제가 되기도 합니다.

 

해석 및 핵심 개념

개념 설명
사회 비교(Social Comparison)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여 스스로를 평가하는 심리적 과정
상향 비교(Upward Comparison) 자신보다 더 뛰어난 사람과 비교하여 열등감이나 향상 동기를 경험
하향 비교(Downward Comparison) 자신보다 부족한 사람과 비교하여 위안이나 자기 긍정을 경험
비교의 기준 비교 대상은 현실보다 SNS 등에서 더욱 이상화되어 있음
 

나에게 묻는다 !

  • 내가 SNS에서 보고 있는 그들의 삶은 과연 얼마나 진짜일까?
  • 나는 누구를 기준으로 나를 판단하고 있는가?
  •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타인의 시선에 휘둘리고 있는가?

제안

비교는 나의 위치를 파악하고 발전하려는 자연스러운 시도입니다.

하지만 그 비교가 타인의 기준에만 의존한다면, 우리는 끊임없이 흔들리게 됩니다.

중요한 건 비교를 통해 '어디에 있느냐'가 아니라, '어디로 향하고 싶으냐'입니다.

비교는 나를 가두는 틀이 아니라, 스스로를 돌아보는 거울이어야 합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2-2 낙인 이론: ‘한 번 찍힌 프레임’은 왜 벗기 어려운가?
  • 2-3 역할 이론: 정체성은 사회적 ‘가면’으로 구성되는가?
  • 1-4 선택 마비 이론: 너무 많은 선택이 나를 멈추게 한다
 

참고도서

  • Leon Festinger,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 이지영, 『SNS 심리학』

 

관련 기사

“육아우울증 환자의 적, SNS 중독” – 브런치스토리 (@uNS, 2020)

    • 발행일: 2020년 10월 15일
    • 핵심 요약:
      • SNS에서 아이 발달·육아 방식을 비교하면서 스트레스와 자괴감을 경험하는 육아맘들이 많습니다 instagram.com+3brunch.co.kr+3smartkidslab.tistory.com+3.
      • 글쓴이는 “육아도 다 집집마다 다르다”라고 스스로 위로하지만, 동시에 “다른 엄마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데…”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고 고백합니다.
      • 이처럼 SNS 환경은 비교 심리를 강화하고, 그 결과 육아 피로감과 비교로 인한 우울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를 지적합니다.
 

추천 영상

  • [YouTube] “Why We Compare Ourselves to Others (and How to Stop)”
  • [TED] "The Price of Comparison" – 삶을 소비하는 비교의 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