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나는 언제부터 '엄마'가 되었을까?" – 역할 이론(Role Theory)으로 보는 우리의 정체성

반응형

역할극 같은 일상 속 나의 정체성

직장에서는 부하직원이자 팀장이고, 집에 오면 부모이자 자녀이며, 친구들과 있을 땐 또 다른 사람이 됩니다. 우리는 매일 상황에 맞게 역할을 바꿔가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그 역할이 나의 정체성 자체가 되어버리기도 합니다. 이처럼 ‘사회 속 나’는 단순한 개인이 아니라 '역할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역할 이론(Role Theory)이란?

역할 이론은 우리가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면서 맡게 되는 여러 '사회적 지위(Status)'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 즉 '역할(Role)'을 수행한다는 이론입니다. 이는 사회학자 랄프 린턴(Ralph Linton)과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 등이 발전시킨 개념으로, 인간을 사회 구조 속 상호작용의 주체로 봅니다.

  • 각 개인은 다양한 사회적 지위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규범적으로 기대되는 행동이 존재합니다.
  • 우리는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거나 갈등하면서 그 역할을 익히고 내면화하게 됩니다.
 

 

 '엄마'라는 역할을 처음 맡았을 때

육아휴직 중인 K씨는 출산 전에는 직장에서 유능한 기획자였지만, 지금은 하루 종일 아기를 돌보느라 자기 이름보다 '아기 엄마'라는 호칭이 더 익숙해졌습니다. 이전의 나는 어디로 간 걸까? 이처럼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면 기존 정체성과 충돌이 생기기도 하고, 역할이 삶의 중심축이 되기도 합니다.

또 다른 예로는 군대에서 병사였던 사람이 전역 후 민간인으로 돌아왔을 때 느끼는 공허함역할 상실감 역시 설명이 가능합니다.

 

핵심 개념과 원리

개념 설명
사회적 지위(Status) 개인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 (예: 학생, 부모, 직장인 등)
사회적 역할(Role) 해당 지위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 방식과 태도
역할 갈등(Role Conflict) 둘 이상의 역할 간에 요구가 충돌하는 상태
역할 긴장(Role Strain) 하나의 역할 내에서 생기는 내적 부담이나 충돌

 

나에게 묻는다 !

  • 나는 지금 어떤 사회적 역할들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가?
  • 그중 내가 가장 중심으로 여기는 역할은 무엇인가?
  • 그 역할은 나에게 어떤 의미이며, 때로는 부담이 되기도 하는가?
 

역할이 곧 나일까?

우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가지만, 그 역할이 ‘나’를 전부 규정해서는 안 됩니다.

정체성은 역할의 총합 이스스로를 돌아보는 질문

  • 나는 지금 어떤 사회적 역할들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가?
  • 그중 내가 가장 중심으로 여기는 역할은 무엇인가?

그 역할은 나에게 어떤 의미이며, 때로는 부담이 되기도 하는가?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2-1 거울자아 이론: 타인의 시선이 만든 나
  • 2-2 낙인 이론: 역할이 고정될 때 겪는 사회적 낙인
  • 1-1 자기통제 자원이론: 역할 수행에 필요한 에너지
 

📚 참고 도서

  • 어빙 고프만, 『자아연출의 사회학』
  • 랄프 린턴, 『The Study of Man』
  • 탈콧 파슨스, 『사회체계이론』
 

📰 관련 기사

  • [중앙일보  (2023.08.15) ] "육아휴직 후 나는 누구인가요?" 정체성 혼란 겪는 엄마들
  • [한겨레] 군 전역 후의 우울감, '역할 공백' 때문일 수도
 

🎥 추천 영상

  • [YouTube]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사회적 역할 이론 해설
  • [TED] The masks we all wear – 사회적 역할에 대한 통찰